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구조

데이터베이스

2020. 5. 6. 18:58

1.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DBS)

  •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해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
  • 사용자, 데이터언어, DBMS, 데이터베이스, 컴퓨터로 구성

 

2.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

[그림] 스키마
[그림] 스키마와 인스턴스

  • 릴레이션 : 개별 테이블을 이야기함 (고객테이블, 상품테이블, 판매테이블 등, A Table)
  • 스키마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구조와 제약조건 정의 (타입과 사이즈 등, Columns)
  • 인스턴스 : 스키마에 저장된 실제 데이터 사례 (Rows)

 

3.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

[그림] 3단계 DB의 구조

  • 미국 표준화 기관인 ANSI에서 제안한 구조로,
  • DB를 쉽게 이해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나의 DB를 관점에 따라 3단계로 나눈 것
  • 1) 외부 단계 (External, 외부 스키마) : 개별 사용자 관점 (하나의 테이블 스키마)
  • 2) 개념 단계 (Conceptual, 개념 스키마) : 조직 전체 관점 (모든 테이블 스키마)
  • 3) 내부 단계 (Internal, 내부 스키마) : 물리적인 저장장치 관점 (실제 저장장치에 저장되는 구조를 정의)

 

4. 데이터베이스 사상 (Mapping)

  • 사상 (寫像) : 어떤 것과 어떤 것을 연결하는 mapping 과정
  • 외부 <=> 개념 사상 : 외부스키마와 개념스키마 간의 mapping
  • 개념 <=> 내부 사상 : 개념스키마와 내부 스키마 간의 mapping

 

5. 데이터 독립성 (중요)

[그림] 데이터 독립성

  • 데이터 독립성 : 하위 스키마를 변경해도 상위 스키마는 영향받지 않는 특성
  • 하위 스키마가 변경되면 해당 관련된 사상만 정확히 수정해주면 문제가 생기지 않음
  •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Logical) : 개념스키마가 변해도, 외부스키마는 변하지 않음
  •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 (Physical) : 내부스키마가 변해도, 개념스키마는 변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