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

2020. 4. 10. 14:19

1. DBMS의 등장 배경

  • 파일시스템이란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 파일생성,삭제,수정,검색 기능등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임.
  • 파일시스템은 응용프로그램마다 필요한 파일을 별도로 보관하고 있음. (이게 문제)
  • 이러한 파일시스템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여러 문제를 가지고 있음.  

 

2. 파일시스템의 문제점

  • 중복성 : 같은 내용의 데이터가 여러 파일에 중복되어 저장됨.

[그림] 데이터 중복성 해결하기 => 같은 데이터를 모은다.

 

  • 종속성 : 응용프로그램과 파일이 서로 종속적이다 (Tightly coupled 하다)

[그림] 데이터의 구조가 바뀌면 소스코드도 큰폭으로 바뀐다.

 

  • 신뢰부족 : 데이터 파일에 대한 보안, 회복 기능이 부족하다.
  • 개발힘듬 : 응용프로그램 개발시 파일처리도 구현해야해서 개발이 쉽지 않다.

 

3. DBMS의 등장

  • DBMS는 Database Management System의 약자이다.
  • 파일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소프트웨어이다.
  • 조직(Organization)에 필요한 데이터를 DB에 넣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임
  •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MySQL, Oracle 같은 소프트웨어를 말함.
  • DBMS는 응용프로그램별로 따로 데이터를 관리하지 않고 공통된 데이터를 통합하여 저장함.
  • 때문에 여러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시접근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변화함.

 

ㅣ능[그림] 애플리케이션, DB, DBMS

 

4. DBMS의 주요 기능

  • 정의 (DDL) :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함 (create, alter, rename 등)
  • 조작 (DCL) : 데이터를 삽입, 삭제, 수정, 검색함 (insert, delete, update, select)
  • 제어 (DML) :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등 (grant, commit, rollback)

 

5. DBMS의 발달 과정

  • 1세대 : 네트워크 DB (그래프) or 계층 DB (트리)
  • 2세대 : 관계형 DB (테이블, 2차원 배열)
  • 3세대 : 객체형 DB, 객체관계 DB (테이블, 오브젝트)
  • 4세대 : NoSQL (비정형, Json 등), NewSQL DB (NoSQL + 관계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