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CP/IP Protocol Suite (프로토콜 집합)
가장먼저 우리는 네트워크 통신의 대표격인 인터넷 통신에 대해서 알아본다. 인터넷이란 TCP/IP 기반의 네트워크 대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의미한다. 아래 그림의 왼쪽 계층은 초창기 TCP/IP 프로토콜이다. 당시에는 4계층으로 분류했지만 현재에 와서는 오른쪽과 같이 5계층으로 변경되었다.
※ Layer 1~5까지 전부 포함되어있는 시스템은 양 끝단에 있는 단말기(터미널)밖에 없다. 적어도 중간에서 그들 사이를 이어주는 단계에서는 Application 계층을 포함해서는 안된다. Application 계층에서는 Data가 Information으로 바뀌는데 중간 단계에서 이러한 작업이 일어나면 개인의 정보가 유츌되거나 도청될 우려가 있다.
※ 또한 이전에 말했듯이 Layer 1~3까지만 있는 시스템들을 데이터 통신이라고 한다. 그래서 우리가 배우고 있는 이 데이터 통신 과목에서는 Layer 1~3까지만 집중적으로 공부하고 이후에 배울 컴퓨터 네트워크 과목에서 Layer 4~5에 대해서 공부한다.
2. 데이터 통신 장비
-
허브 (Hub) : 1단계 물리층 장비. 한 포트로 신호가 들어오면 모든 포트로 전송
-
브릿지 (Bridge) : 2단계 장비. 랜카드주소(MAC) 사용가능. 보내려는 포트만 전송가능
-
스위치 (Switch) : 2단계 장비. 하드웨어방식, 브릿지보다 빠르고 많은 포트를 지원
-
라우터 (Router) : 위의 요소들로 구성한 네트워크를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해 사용함. 3단계 장비이기 때문에 IP주소를 사용해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송한다. (공유기)
-
LAN의 개수 : 3개 (Bridge 개수, 내부 네트워크를 의미)
-
네트워크 개수 : 1개 (Router 개수, 외부에서 보이는 네트워크를 의미)
3.
1) Protocoal Layering 2원칙 :
(1) 양방향 통신이라면 각 계층이 상반되는 기능을 수행해야한다. (e.g. 말하기/듣기, 암호화/복호화)
(2) 각 계층에서 통신되는 객체의 형식은 반드시 동일해야한다. (e.g. 평서문, 암호문 등)
2) Protocol Layering 1원칙 : 각 계층이 상반된 기능 수행
Layer | 송신자 | 수신자 |
Application | 정보를 보낸다. | 정보를 받는다. |
Transport | 정보를 잘게 쪼갠다. | 정보를 모아서 넘긴다. |
Network | 경로 선택코드 추가. | 경로를 선택하고 경로코드 제거 |
Data Link | 오류검출 코드가 추가된다. | 오류를 수정하고 검출코드 제거 |
Physical | 비트단위로 송신된다. | 비트단위로 수신된다. |
각 계층 (1~5 Layer)가 정확히 송신자/수신자 관점에서 정확히 상반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TCP/IP 프로토콜은 1원칙을 잘 준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Protocol Layering 2원칙 : 각 계층이 동일한 형식의 데이터를 다룸
Layer | 송신자 & 수신자 |
Application | Message (메시지) |
Transport | Segment (세그먼트) |
Network | Datagram (데이터그램) |
Data Link | Frame (프레임) |
Physical | Bit (비트) |
즉, 송신자든 수신자든 각 계층에서 동일한 형식의 데이터를 다루므로 2원칙 역시 잘 준수되고있다.
4. Reference
데이타통신
정보통신 분야를 이해하기 위하여 본 강좌는 데이타통신과 컴퓨터네트워크의 기본원리와 기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데이타전송기술, 데이타링크 제어, 패킷교, LAN 등을 포함하여 프로토콜과 최신 통신기술을 강의한다.
www.kocw.net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모델 (6) - User / Signaling 데이터 (0) | 2020.04.10 |
---|---|
네트워크 모델 (5) - OSI 7 계층 모델 (0) | 2020.02.16 |
네트워크 모델 (4) - 캡슐화, 주소, 다중화 (Encapsulation , Addressing, Multiplexing) (0) | 2020.02.16 |
네트워크 모델 (3) - TCP/IP 프로토콜 훑어보기 (2) (0) | 2020.01.31 |
네트워크 모델 (1) - 프로토콜 계층화 (0) | 2020.01.30 |
네트워크 개요 (0) | 2020.01.18 |
데이터 통신 개요 (1) | 2020.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