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체크리스트

체크리스트

2020. 5. 12. 11:33

네트워크 체크리스트

  • 평일 : 네트워크 공부 전에 반드시 풀고 공부하기
  • 주말 : 토요일에 반드시 전과목 복습하기

 

문제 리스트 (마지막 테스트 : 20/05/12)

  1. CPND는 무엇의 약자인가?
  2. 통신(Communication)의 정의는?
  3. 통신망(Communication Network)이란?
  4. 프로토콜이란?
  5. 데이터 통신의 정의는?
  6.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의 차이점
  7.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특징 (DAT Ji)
  8.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5가지
  9. 데이터 흐름 방향 3가지
  10. 물리적 구조 (1대1 연결 vs 다수 연결 차이점)
  11. 망형구조(Mesh)의 특징과 장단점
  12. 성형구조(Star)의 특징과 장단점
  13. 버스형구조(Bus)의 특징과 장단점
  14. 환형구조(Ring)의 특징과 장단점
  15. 트리형구조(Tree)의 특징과 장단점
  16. 네트워크의 유형 : 소유권(e.g. public, private)에 따른 유형 구분
  17. 네트워크의 유형 : 서비스(e.g. PSTN, PSDN)에 따른 유형구분
  18. 네트워크의 유형 : 크기(e.g. PAN, LAN, MAN, WAN)에 따른 유형구분
  19. 네트워크의 유형 : 유/무선(e.g. WLAN vs LAN / WWAN vs WAN 등)에 따른 유형구분
  20. 인터넷의 정의는?
  21. ISP란 무엇인가?
  22. NSP란 무엇인가?
  23. 프로토콜 계층화의 필요성은?
  24. 프로토콜 계층화 원칙 2가지는?
  25. TCP/IP 프로토콜 슈트 5단계 각 단계 이름은?
  26. 데이터 통신 장비 허브는 몇 단계이며 무엇인가?
  27. 데이터 통신 장비 브릿지는 몇 단계이며 무엇인가?
  28. 데이터 통신 장비 스위치는 몇 단계이며 무엇인가?
  29. 데이터 통신 장비 라우터는 몇 단계이며 무엇인가?
  30. LAN의 개수와 네트워크(인터넷)의 개수를 어떻게 세는가?
  31. 물리층의 4가지 역할은 무엇인가?
  32. 데이터 링크층의 역할과 3가지 컨트롤은 무엇인가?
  33. 네트워크 층의 3가지 역할은 무엇인가?
  34. 전송층의 역할은 무엇인가?
  35. TCP와 UDP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36. 응용층의 역할과 대표 프로토콜 4개와 프로토콜 용도 말하기
  37. HyperText가 무엇이고, HTML의 약자는 무엇인가?
  38. 메일을 보내는 프로토콜의 약자는 무엇인가?
  39. 캡슐화와 역캡슐화는 무엇인가?
  40. 네트워크에서 쓰이는 4가지 주소의 이름과 프로토콜 레이어 말하기
  41. 다중화와 역다중화는 무엇인가?
  42. OSI 모델의 세션층의 역할은 무엇인가?
  43. OSI 모델의 표현층의 역할은 무엇인가?
  44. 세션층이 상위단계인가? 표현층이 상위단계인가?
  45. OSI 모델과 TCP/IP 모델의 관점 차이는 무엇인가?
  46. OSI 모델이 실패한 이유는 무엇인가?
  47. User 데이터와 Signaling 데이터는 무엇인가?
  48. 감시 (Supervisory) 시그널링은 무엇인가?
  49. 감시 (Supervisory) 시그널링의 대표 방식은 무엇이고 어떻게 돌아가는가?
  50. 주소 (Address) 시그널링은 무엇인가?
  51. 주소 (Address) 시그널링의 2가지 대표방식은 무엇이고 어떻게 돌아가는가?
  52. 주소 시그널링 두개중에 무엇이 더 효율적이고 좋은가?
  53. 정보 (Information) 시그널링은 무엇인가?
  54. 정보 (Information) 시그널링의 3가지 대표 역할은 무엇이고 어떻게 돌아가는가?
  55. PSTN의 User / Signaling 데이터의 경로는 어떻게 되는가?
  56. PSTN의 Signaling 신호는 어디로 이동하는가?
  57. Internet의 User / Signaling 데이터의 경로는 어떻게 되는가
  58. PSTN과 Internet의 데이터 경로가 다름으로써 PSTN에서는 추가로 무엇을 해줘야하는가?
  59.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의 간단한 개념은?
  60. 주기 신호와 비주기 신호의 간단한 개념은?
  61. 위상, 진폭, 주기, 파장, 주파수에 대해 말해보기
  62. 파동의 속도 공식은 어떻게 되는가?
  63. 왜 파장이 주파수의 다른 이름으로 불릴 수 있는가?
  64. 복합신호란 무엇인가?
  65. 복합신호를 푸리에변환하면 어떤 일이 생기는가?
  66. DC(직류) 신호에서 DC는 무엇의 약자고,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67. DC 신호의 주파수는 몇 Hz인가?
  68. 실제로 통신에 쓰이는 신호는 복합신호인가 단일신호인가?
  69. 주기신호는 "무엇"과 그의 배수만큼 빠르게 진동하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70. 주기신호의 푸리에 변환 결과와 비주기 함수의 푸리에 변환 결과 차이는?
  71. 사각신호를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72. 완벽한 사긱신호를 만드는 것은 가능한가? 불가능하다면 그 이유는?
  73. 대역폭이란 무엇인가?
  74. 디지털 신호에서 레벨이란 무엇인가?
  75. 음성전화의 1개 단위는 몇개의 비트를 사용하고 몇개의 레벨을 가지는가
  76. 음성전화는 초당 몇번 샘플링하는가?
  77. 음성전화의 초당 비트 전송량은 몇 bps인가?
  78. 비트 전송률 (Bit Rate)란 무엇이고 어떻게 계산하는가?
  79. 비트 길이 (Bit Length)란 무엇이고 어떻게 계산하는가?
  80. 유선 음성통신의 Bit Length는 어떻게 되는가?
  81. 디지털 신호가 복합 아날로그 신호인 이유와 복합된 주파수의 수는 몇개인가?
  82. 완벽한 디지털 신호를 구현하는것은 가능한가?
  83. Baseband(기저대역)이란 어떤 주파수 영역인가?
  84. Low-pass Channel (저대역 통과채널)은 어떤 채널인가?
  85. 기저대역 전송은 디지털신호를 어떻게 전송하는가? (변환 or 변환안함)
  86. 저대역 매체의 경우 가격 대비 Bandwidth가 넓은가 좁은가?
  87. 기저대역 전송시 매체 1개당 몇개의 채널이 운용 가능하고, 그 이유는?
  88. 좁은 대역폭을 가진 Baseband와 넓은 대역폭을 가진 Baseband 신호는 개형이 어떻게 달라지는가?
  89. Broadband(광대역)이란 어떤 주파수 영역인가?
  90. 광대역 전송은 디지털 신호를 어떻게 전송하는가? (변환 or 변환안함)
  91. 광대역 채널의 가격은 기저대역 채널 대비 비싼가? 저렴한가?
  92. 광대역 전송시 매체 1개당 몇개의 채널이 운용 가능하고, 그 이유는?
  93. OO Pass Channel이라고 말하는데, 이 때 Pass Channel은 무엇인가?
  94. Pass Chennel의 종류 3가지와 특징은 무엇이 있는가?
  95. OO Stop Channel이라고 말하는데, 이 때 Stop Channel은 무엇인가?
  96. Stop Channel의 종류 3가지와 특징은 무엇인가?
  97. 전송 손상(Transmission Impairment)이란 무엇인가?
  98. 감쇠(Attenuation)이란 무엇이고, 왜 발생하는가?
  99. 복합신호의 경우, 감쇠로 인한 피해를 완벽하게 복구하는 것이 가능한가?
  100. 왜곡(Distortion)이란 무엇이고, 왜 발생하는가?
  101. 왜곡 발생시 중심부근 주파수와 양끝쪽 주파수가 어떻게 손상되는가?
  102. 잡음(Noise)란 무엇이고 발생하는 4가지 주요 원인 말해보기
  103. SNR이란 무엇이고, SNR이 높으면 좋은가 낮으면 좋은가?
  104. 전송 손상을 해결하는데 사용되는 Eqaulization 기법은 무엇인가?
  105. 나이퀴스트의 비트레이트 계산 방법은 무엇이고, 어떤 특징이 있는가?
  106. 샤넌-하틀리의 비트레이트 계산방법은 무엇이고, 어떤 특징이 있는가?
  107. 왜 두 비트레이트 계산법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가?
  108. Throughput과 Delay는 무엇인가?
  109. Delay는 4가지 지연시간의 합으로 평가되는데 각각 지연시간의 종류와 특징은?
  110. Delay가 주어질 때, 선로안에 있는 비트의 숫자를 계산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
  111. 파형난조(Jitter)란 무엇이고 어떻게 계산하는가?
  112. 데시벨의 정의와 데시벨로 신호의 크기를 어떻게 비교하는가? (공식)
  113. Power(전력)과 Volt(전압)을 계산하는 공식은 무엇인가?
  114. dBv(데시벨 볼트)의 계산방법은 무엇인가 (공식)
  115. dBm(데시벨 밀리와트)의 계산 방법은 무엇인가? (공식)
  116. dBW(데시벨 와트)의 계산방법은 무엇인가? (공식)
  117. 라인코딩(회선 부호화)는 무엇이고 왜해야하는가?
  118. 데이터 통신에서의 리커버리란 무엇인가?
  119. DC신호는 무엇이고, DC신호가 좋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120. 라인코딩을 평가하는 5가지 기준과 스키마를 비교하는 4가지 조건은 무엇인가?
  121. 모듈레이션 레이트(Modulation Rate)란 무엇인가?
  122. 스키마 스펙트럼에서 신호의 개형이 가우시안 형태로 되면 좋은 이유는?
  123. 스키마 스펙트럼에서 Frequancy 축으로 넓으면 좋은가 안좋은가? 이유는?
  124. 스키마 스펙트럼에서 Frequancy 축으로 왼쪽이 좋은가? 오른쪽이 좋은가? 이유는?
  125. 유니폴라 (단극성) 스키마는 신호를 어떻게 구성하는가?
  126. NRZ-L 유니폴라 스키마는 어떻게 신호를 인코딩하고 문제는 무엇인가?
  127. NRZ-L에서 반드시 DC성분이 나올수 밖에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128. 폴라 (극성) 스키마는 신호를 어떻게 구성하는가?
  129. NRZ-I 코딩은 NRZ-L 코딩과 어떻게 다르고, 어떤 문제가 있는가?
  130. RZ 코딩은 어떻게 신호를 구성하고, 어떤 장단점이 있는가?
  131. 맨체스터 코딩방식은 어떻게 신호를 구성하고 어떤 장단점이 존재하는가?
  132. 맨체스터 코딩방식은 어떻게 에러를 자동으로 디텍션하고 클랑킹 문제를 해결하는가?
  133. 맨체스터 코딩같이 1개 비트가 2개의 위상을 보이는 코딩을 "뭐"라고 부르는가?
  134. 차분 맨체스터 코딩은 신호를 어떻게 구성하는가?
  135. 바이폴라 (양극성) 스키마는 신호를 어떻게 구성하는가?
  136. RZ 코딩은 왜 양극성 스키마라고 부를 수 없는가?
  137. Mark와 Space가 무엇을 의미하는가?
  138. AMI 코딩의 약자는 무엇이고 어떻게 신호를 구성하는가?
  139. 의사 3진법 (Pseudo Ternary) 코딩은 어떻게 신호를 구성하는가?
  140. 바이폴라 스키마는 어떻게 DC성분을 제거하는가?
  141. 바이폴라 스키마는 왜 0만 클록킹 문제가 발생하는가?
  142. 위의 단일레벨 코딩의 단점은 무엇이고, 다중레벨 코딩의 장점은 무엇인가?
  143. 2B1Q 코딩의 약자는 무엇이고 어떻게 신호를 구성하고, 어디에 쓰였는가?
  144. 8B6T 코딩의 약자는 무엇이고 어떻게 신호를 구성하는가?
  145. 8B6T 코딩은 729개의 신호중 어떤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사용하고, 나머지 신호는 어디에 사용하는가?
  146. 4D-PAM5 코딩의 약자는 무엇이고 몇개의 신호를 사용하는가?
  147. 4D-PAM5 코딩은 어떻게 통신 속도를 향상시키는가?
  148. 장거리 전송시에는 다중레벨과 단일레벨 코딩중 어떤방식이 주로 사용되는가?
  149. 다중회선코딩 MLT-3는 어떻게 신호를 구성하고 어디에서 사용중인가?
  150. 블록코딩의 정의 및 개념은 무엇이고 어떤 스키마에 왜 사용하는가?
  151. 블록코딩의 대표적인 예시 2개를 말하기
  152. 블록코딩을 하면 발생하는 장점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단점은 무엇이 있는가?
  153. 스크램블링의 정의 및 개념은 무엇이고 어떤 스키마에 왜 사용하는가?
  154. 스크램블링은 왜 0만 처리하고 1은 처리하지 않아도 되는가?
  155. 스크램블링의 대표적인 예시 2개 표준을 말하고, 이들이 각각 어떻게 신호를 처리하는지 말하기
  156. 보율 (Baud Rate)는 무엇이고, BPS에서 보율로 어떻게 변환하는가
  157. BPS에서 보율로 변환할 때, 상수값을 사용하는가? 사용한다면 이유는 무엇인가?
  158. 아날로그는 오류검출이 가능한가? 디지털은 오류검출이 가능한가?
  159. PAM, PWM, PPM, PCM의 약자와 무엇이 다른지 말하기
  160. ADC(PCM)과정을 간단하게 3단계로 요약해서 말해보기
  161. 나이퀴스트 샘플링 이론에 대해 설명하고(공식) 그 이유에 대해 말하기
  162. 최고 주파수가 같고 서로 다른 대역폭을 가진 두 신호의 샘플링 레이트는 같은가 다른가?
  163. 3가지 샘플링 기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Ideal, Natural, Flat-Top)
  164. 양자화 과정에서 왜 양자화 잡음이 포함되는지 설명하기
  165. 양자화 비트의 수가 많아질수록 어떤일이 벌어지는가?
  166. 비선형 양자화는 무엇이고 왜 비선형 양자화를 실시해야하는지, 유럽표준, 북미표준은 뭔지 말하기
  167. 인코딩시에 하나의 독립적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최소 비트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68. 사람이 보통 유효음성은 몇 KHz이고, 음성 전화의 샘플링 레이트는 어느정도로 해야 적당한가?
  169. 사람의 가청 주파수는 몇이고, 이에 따라 MP3, CD등의 오디오 샘플링 레이트는 어느정도로 설정되는가?
  170. 음성전화와 CD,MP3 등의 오디오는 몇비트로 양자화를 진행하는가?
  171. 모든 신호 전송시에 음성전화의 배수 bps로 구성되는지 아닌지 말하기
  172. 델타변조 기법에 대해 설명하고, 델타변조에서 델타가 무엇을 뜻하는지 말하기
  173. 델타변조의 문제점과 두가지 노이즈의 이름 및 설명 말하기
  174. PCM 변조나 델타변조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디코딩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
  175. 왜 병렬전송은 보드 내의 버스같은 짧은 거리에서만 설계하고 장거리 통신시에는 사용하지 않는지 말하기
  176. 라인코딩중 멀티레벨 전송방식이 더 빠른데 왜 장거리 통신시 바이폴라 기법을 사용하는지 말하기
  177. 비동기 전송이 무엇이며, 비동기 직렬전송 중 배웠던 대표기법의 통신방법이름과 어떻게 돌아가는지 설명하기
  178. 동기직렬전송이 무엇인지 말하고, 어떻게 해서 동기 직렬전송의 비트수를 아낄 수 있는지 기법이름과 설명하기

'체크리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프로세서 체크리스트  (0) 2020.05.22
논리회로 체크리스트  (0) 2020.05.20
언어이론 체크리스트  (0) 2020.05.18
소프트웨어공학 체크리스트  (0) 2020.05.13
정보검색론 체크리스트  (0) 2020.05.13
확률론 체크리스트  (0) 2020.05.13